AI와 함께하는 디지털 시대, 챗GPT를 활용해 여러분을 표현한 이미지를 만들어보는 과정을 경험해보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AI 이미지 생성 도구를 활용해 사용자가 요청한 맞춤형 결과물이 어떻게 탄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챗GPT와 DALL·E 같은 도구를 활용한 창의적 협업을 소개합니다.
1. 사용자 요청: 시작은 간단한 질문에서
먼저, 챗GPT에게 이렇게 요청했습니다
"챗GPT야 지금까지 너와 내가 나눈 대화를 가지고 네가 생각하는 나를 그려줘."
챗GPT가 DALL-E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했습니다
챗 GPT: Here's an image inspired by our conversations. It captures the adventurous and creative aspects of your personality, especially your passion for rock climbing and content creation. Let me know your thoughts!
나: 왜 이런 인물을 그렸는지 한글로 설명해줘
챗GPT: 이 이미지는 우리가 나눈 대화를 기반으로 당신을 표현한 것입니다. 당신은 암벽 등반을 좋아하고, 야외 스포츠를 즐기는 열정적인 사람으로 보입니다. 또한, 유튜브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는 창의적인 면모도 드러났습니다. 그래서 이미지 속 인물은 암벽 등반 장비를 착용하고, 바위와 자연으로 둘러싸인 장면에서 모험적이고 영감을 주는 분위기를 풍기도록 그려졌습니다. 카메라나 노트북을 들고 있는 모습은 당신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의 면모를 상징합니다. 이 이미지는 당신의 도전 정신과 창의성을 따뜻하고 긍정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한 결과입니다.
챗GPT는 사용자의 대화 기록을 분석해, 사용자 자신을 묘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합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사용자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줬습니다:
- 암벽 등반을 즐긴다.
- 야외 스포츠에 관심이 많다.
- 유튜브 콘텐츠 제작에 흥미를 가진다.
-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 정보는 AI 이미지 생성 과정에서 필수적인 입력값이 됩니다. 사용자 맞춤형 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 이러한 요소를 기반으로 묘사를 준비합니다.
2. AI의 작업 방식: 이미지 생성 요청
챗GPT는 직접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지만, DALL·E 같은 AI 이미지 생성 도구와 협력해 텍스트로 묘사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제작합니다. 다음은 작업 흐름입니다:
1) 대화 기록 분석
챗GPT는 사용자의 대화 기록에서 주제와 이미지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를 파악합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 "암벽 등반": 바위와 자연을 포함한 배경.
- "유튜브 크리에이터": 카메라나 노트북 같은 아이템.
2) 텍스트 묘사 작성
챗GPT는 이미지 생성 도구가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상세하게 묘사합니다. 예를 들어:
"A portrait of a person who is an outdoor enthusiast with a focus on rock climbing. The person is depicted in an outdoor setting, surrounded by rocky cliffs, wearing casual climbing gear like a chalk bag and climbing shoes."
3) 이미지 생성 요청
묘사된 텍스트를 DALL·E에 전달해 AI 이미지 생성 프로세스를 시작합니다.
그런데 인물 뒤에서 암벽등반을 하는 인물의 자세가 매우 어색합니다. 그래서 다시 챗GPT에게 요청합니다.
3.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수정 과정
챗GPT는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결과물을 보고 다음과 같은 요청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암벽 등반하는 모습이 어색하니 수정해 주세요."
- "앞의 인물은 그대로 두고, 배경의 등반 장면만 수정해주세요."
이 피드백을 바탕으로, 챗GPT는 묘사를 수정하여 DALL·E에 재요청을 보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맞춤형 이미지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나: 위의 그림에서 암벽등반 하는 모습이 어색한데 다시 수정해서 그려줘
챗GPT: 암벽 등반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수정한 이미지를 준비했습니다. 새로운 배경에서는 클라이머가 균형 잡힌 자세로 적절한 장비를 착용한 채 등반을 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도록 신경 썼습니다. 이제 어떤지 말씀해 주세요!
등반하는 인물의 자세는 자연스러워 졌는데 나에 해당하는 전면 인물은 구도가 바뀌었습니다.
나: 앞에 인물은 전혀 변형시키지 말고 뒤의 것만 수정할 수는 없나?
말귀를 잘 못알아 들어서(엄밀하게 말한다면 설명이 부족해서) 엉뚱한 결과물도 냅니다
챗GPT: 현재 이미지 생성 방식에서는 앞쪽 인물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경만 수정하는 작업이 제한적입니다. 기존 이미지를 활용해 뒤쪽 암벽등반 부분만 자연스럽게 수정하려면 전문적인 이미지 편집 도구(예: 포토샵)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제가 생성한 이미지를 가이드로 제공하거나, 원하시면 배경에 대한 더 구체적인 방향을 말씀해 주시면 추가로 생성해서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결론: AI와 함께 만드는 나만의 초상화
현대 시점에서 평가한다면 내가 그동안 챗GPT와의 대화의 내용이 나라는 인물을 표현하는데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챗GPT와 DALL·E 를 통해 이미지를 구현할 때 특정 부분은 유지하고 특정부분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할 때 유지가 필요한 부분이 요청대로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아마 좀더 세심한 프롬프트를 작성하면 똑 같은 이미지는 아니더라도 요구사항에 가까운 이미지는 구현해 낼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든다면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해서 AI에게 그 이미지를 상세하게 분석하게 한 후 유지하고 싶은 부분의 프롬프트는 남기고 바꾸고자 하는 부분의 프롬프트를 수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 챗GPT도 밝혔듯이 현재 시점에서 원하는 부분이 완벽하게 보존되는 것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챗GPT가 나를 그려준다는 것은 나의 라이브 패턴이라든과 정보들을 챗GPT가 점점 더 디테일하게 알아간다는 것인데,
편리라는 이면에 공상과학 영화처럼 인간을 지배할 지도 모르는 부정적인 가능성도 있다는 점입니다.
AI의 발전도 변천사가 있습니다
답변을 한다는 것에 놀라워하던 시대에서
답변을 우리가 의도한대로 받아내는 걸 바라보는 시대로 왔고
2025년은 의도에 따라서 알아서 하길 원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AI와 함께 사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는 인간의 감정'즐거움'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이미지로 표현할까? (0) | 2023.09.10 |
---|---|
AI는 인간의 감정'슬픔'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이미지로 표현할까? (0) | 2023.09.07 |
AI는 인간의 감정 '분노'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이미지로 표현할까? (0) | 2023.09.05 |
AI가 그려준 한국의 사계- 봄 여름 가을 겨울 (1) | 2023.09.04 |
AI는 인간의 감정 '기쁨'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이미지로 표현할까? (0) | 2023.09.04 |